육아휴직 후 퇴직하면 퇴직금은 얼마나 받을 수 있을까요? 평균임금 기준과 계산 예시, 꼭 확인해야 할 포인트까지 쉽게 정리해드렸어요.
육아휴직 후 퇴직금 계산 방법 완벽 정리
육아휴직을 마친 후 퇴직을 고민하는 분들이라면 가장 궁금한 부분 중 하나가 바로 퇴직금 계산 방법일 것입니다.
특히 육아휴직 직전 급여가 달라졌거나, 월급을 절반만 받았다면 퇴직금 산정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궁금할 수 있습니다.
그래서 육아휴직 후 퇴직금 계산 방식에 대해 구체적인 사례와 함께 알려드리겠습니다.
육아휴직 후 퇴직금 계산 기준
퇴직금 산정 기본 원칙
퇴직금은 근로자가 1년 이상 근무하고 퇴사할 경우, 평균임금을 기준으로 지급됩니다.
여기서 중요한 기준은 바로 평균임금입니다.
평균임금 = 산정 기간 동안의 총 급여 ÷ 산정 기간의 총 일수
여기서 ‘산정 기간’이란 퇴직일을 기준으로 **3개월(90일)**을 의미합니다.
즉, 육아휴직 기간과 급여 변동 사항이 있어도 퇴직일 직전 3개월의 평균 임금이 기준이 됩니다.
육아휴직 후 퇴직금 계산 예시
예시 상황
- 23년 10월: 300만 원 (정상 근무)
- 23년 11월: 300만 원 (정상 근무)
- 23년 12월: 150만 원 (육아휴직 전 절반 근무)
- 24년 2월 말: 퇴사 예정 (육아휴직 종료)
이 경우, 퇴직금 산정 시 평균임금은 아래와 같이 계산됩니다.
평균임금 계산 과정
- 산정 기간 설정
- 12월 1일 ~ 2월 29일 (3개월)
- 총 급여 합산
- 12월 150만 원 (반월 근무)
- 1월 0원 (육아휴직)
- 2월 0원 (육아휴직)
- 총 급여 = 150만 원
- 산정 기간의 총 일수
- 12월 31일 + 1월 31일 + 2월 29일 = 91일
- 평균임금 계산
평균임금 = 150만 원 ÷ 91일 = 약 16,483원
- 퇴직금 계산
퇴직금 = 평균임금 × 30일 × (총 근무 연수)
= 16,483원 × 30 × 3년 (가정)
= 약 1,483,470원
중요한 포인트
✅ 육아휴직 기간은 평균임금 산정에 포함되지 않습니다.
육아휴직 기간 동안 급여를 받지 않았다면 해당 기간은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됩니다.
따라서 육아휴직으로 인해 퇴직금이 불리하게 줄어들지 않습니다.
✅ 육아휴직 직전 급여가 줄었을 경우 육아휴직 직전 근무 기간에 급여가 절반만 지급된 경우, 해당 급여만이 평균임금 산정에 반영됩니다.
따라서 퇴직 직전 급여 변화가 있다면 그 영향을 확인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✅ 퇴직금 상승을 위한 팁 육아휴직 전에 급여를 정상적으로 받는 기간을 최대한 확보하면, 평균임금 상승에 유리할 수 있습니다.
육아휴직 후 퇴직금을 계산할 때는 평균임금 산정 원칙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합니다.
육아휴직 기간은 제외되며, 직전 급여만 반영된다는 점을 기억하세요.
급여 변동이 있었던 경우는 평균임금 계산 방식을 꼼꼼히 확인해보는 것이 좋습니다.
꼭 확인 할 3가지!!
- 퇴직금 기준은 평균임금
- 육아휴직 기간은 평균임금 산정에서 제외
- 직전 급여가 줄어들었다면 평균임금에 영향
'*경제 지식*' 카테고리의 다른 글
돈키호테 쇼핑 후 면세 영수증 분실, 일본 공항에서 걸릴까? (0) | 2025.03.13 |
---|---|
ETF 자동투자 완전 정복|월 10만 원으로 시작하는 초보자 투자 가이드 (0) | 2025.03.12 |
스마트스토어 시작 방법 총정리|초보자용 개설부터 상품 등록, 마케팅까지 (0) | 2025.03.12 |
아파트 등기부등본 전세금 표기, 이렇게 확인하세요! (0) | 2025.03.12 |
실업급여 구직활동 인정! 자격증 시험 응시로 가능한가요? (0) | 2025.03.12 |
육아휴직 4대보험 납부유예 신청 방법과 유의사항 (0) | 2025.03.12 |
직장 동료 결혼식 축의금 얼마가 적당할까?|5만원, 7만원, 10만원 기준 총정리 (0) | 2025.03.12 |
향후 치료비 추정서 완벽 정리 | 교통사고·산재 보상 필수 자료 (0) | 2025.03.12 |