출산일 기준 육아휴직 18개월 계산법, 6+6 육아휴직 신청 시기 정확히 알려드립니다.
18개월 기준, 하루 차이로 놓치면 모든 게 달라집니다
출산일은 2024년 5월 22일.
그렇다면 6+6 육아휴직을 쓰기 위해서는 언제까지 시작해야 할까요?
바로 이 ‘시작 시점’이 가장 중요합니다.
하루만 늦어도 법적으로 인정받지 못합니다.
출산일로부터 18개월, 정확한 기준은?
육아휴직은 자녀가 생후 18개월 되기 전에 시작해야 합니다.
여기서 핵심은 **‘월 기준’**이라는 점입니다.
출산일이 2024년 5월 22일이면,
생후 18개월째 되는 마지막 날은 2025년 11월 21일입니다.
즉, 11월 21일까지 육아휴직을 시작해야
6+6 제도의 적용을 받을 수 있습니다.
많은 분들이 헷갈리는 포인트
아래 2가지 중 선택해야 한다면 어떤 게 맞을까요?
- 2025년 11월 12일 → ‘일’로 계산한 생후 18개월
- 2025년 11월 22일 → ‘월’로 계산한 생후 18개월
정답은 없습니다.
둘 다 ‘기준’이 될 수 없습니다.
정부 기준은 출산일 기준 '월 수' 계산입니다.
따라서 11월 21일이 생후 18개월의 마지막 날입니다.
육아휴직 6+6 제도, 이런 조건이 필요합니다
✔ 생후 18개월 이전에 육아휴직을 개시해야 함
✔ 부모 각각이 연속 또는 순차적으로 6개월씩 사용
✔ 두 번째 육아휴직자는 첫 번째 사용 종료 후 사용 가능
✔ 중복 사용은 불가
이 조건을 만족해야 6개월+6개월 모두 ‘육아휴직 급여 100%’를 받을 수 있습니다.
헷갈리지 않도록 달력에 표시해두세요
📌 출산일: 2024년 5월 22일
📌 육아휴직 시작 가능 마감일: 2025년 11월 21일
이 날짜를 넘기면, 6+6 육아휴직 요건을 충족하지 못합니다.
법적 기준이 엄격한 만큼, 꼭 메모해두셔야 합니다.
육아휴직 개시일 계산 실수, 이렇게 피하세요
- 출산일 포함한 월 수로 계산하세요.
- ‘18개월=547일’ 아닙니다. 일 수 기준 아님
- 고용센터나 회사 인사팀 문의도 꼭 병행하세요.
육아휴직 신청 전, 꼭 체크하세요
- 출산일 기준으로 계산한 18개월인지
- 11월 21일 이전에 개시 가능한지
- 첫 번째와 두 번째 육아휴직자의 순서
- 회사 내규와 정부 가이드라인 확인
- 실수 없도록 문서상 날짜 기록
육아휴직 18개월 기준 많이 하는 질문들
육아휴직은 출산일로부터 정확히 언제까지인가요?
→ 생후 18개월, 출산일 기준으로 ‘그 달의 같은 날짜 전날’까지입니다.
2025년 11월 22일에 시작하면 가능한가요?
→ 불가능합니다. 반드시 11월 21일까지 시작해야 합니다.
부모가 동시에 6개월씩 사용할 수 있나요?
→ 중복 사용은 안 됩니다. 순차적으로 사용해야 합니다.
아빠가 먼저 써도 되나요?
→ 가능합니다. 순서에 상관없이 한 명이 먼저 개시하면 됩니다.
만 18개월은 일 기준인가요, 달 기준인가요?
→ 달 기준입니다. 일 수로 계산하지 마세요.
핵심 정리: 날짜를 놓치면 아무 소용 없습니다
2025년 11월 21일까지 육아휴직을 시작해야 6+6 혜택이 적용됩니다.
22일부터는 법적 요건 미달로 인정되지 않습니다.
단 하루 차이로 모든 게 달라질 수 있습니다.
'*경제 지식*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전세권 설정과 근저당, 순서 하나로 세입자 운명이 갈린다 (0) | 2025.04.24 |
---|---|
청년월세지원 자격인데 계약서가 옛날 거라면? 이 방법 쓰세요 (0) | 2025.04.24 |
보금자리론 중 분양권 계약 가능할까? 2주택 피하는 방법 (0) | 2025.04.24 |
압류방지통장 어디서 만드나요? 개설 방법과 은행 총정리 (0) | 2025.04.23 |
분할매도 자동설정 시 오류나는 이유와 해결법 (0) | 2025.04.17 |
공무원연금 10년 기준 일시금 수령 핵심 정리 (0) | 2025.04.16 |
개인회생 중 워크아웃 전환 가능한가요? (0) | 2025.04.15 |
공모주 청약 마감 지나면 수수료 돌려받을 수 있을까? (0) | 2025.04.14 |